목록전기차 (126)
티렉스 Car Story

나의 전기차 첫경험은 2017년 12월 말에 타 본 '쉐보레 볼트 EV' 시승였다. 그 이후 볼트 EV는 다른 계절에 2번 더 타보며, 계절(봄/여름/겨울)에 따른 성능 변화도 테스트 해봤다. 다양한 자동차 모델을 시승했지만 전기차 경험이 늦었던 이유는 내 라이프스타일로 들어올 가능성이 적은 자동차라고 생각해 시승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다. 조용하지만 강력하게 전기차 선입견을 바꿔줄 볼트EV [BY 카브로] 2017 북미 올해의 차 미국 자동차 매체 '모터트렌드' 2017 올해의 차' 1회 충전 383km 주행... m.post.naver.com 계절 타는 전기차의 반전능력_쉐보레 볼트 EV 시승기 [BY 카브로] 최고의 전기차는 어떤 차일까?보는 ..

국내 전기차 시장을 대표하는 모델은 누가 뭐라고 해도 쉐보레 볼트EV이다. 볼트 EV는 출시한 첫 해 사전계약 당시 2시간 만에 초도물량 400대가 완판됐고, 물량을 대폭 확대한 2018년에도 계약 폭주로 인해 시스템이 마비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모델이다. 국내 전기차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왔던 쉐보레 볼트 EV가 새로운 모델을 출시한다. 이번에는 어떤 변화로 국내 전기차 시장에 센세이션을 일으킬 지 확인해본다.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누가 뭐라해도 배터리 성능, 곧 주행거리이다. 볼트 EV가 국내에 첫 출시했을 때 가장 먼저 강조했던 부분이자, 가장 자신있어 했던 부분이 바로 주행거리이다. 1회 충전 383km 주행거리 미국환경청 인증, 서울-제주 470km 주행거리 기록 등의 ..

코로나19로 자동차 브랜드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 브랜드는 이슈의 한 중심에 놓이며 생산에 오히려 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테슬라가 이슈의 한 중심에 놓이게 된 이유는 코로나19로 폐쇄된 공장을 재가동을 강행하였기 때문에 발생했다. 일론머스크는 공장을 재가동해야 하는 이유를 숨긴 체 다양한 전략으로 공장 재가동을 허가 받았다. 이에 그치지 않고 캘리포니아 주정부에게 더 큰 요구를 할 수 있는 상황까지 만들었다. 테슬라가 공장을 재가동해야 했던 이유와 거기에 숨어 있는 전략을 알아본다. 먼저 테슬라는 인기가 높은 테슬라 모델들의 생산을 위해 공장을 폐쇄한 주정부와 대립을 불사하고 재가동을 강행하면서 이슈몰이를 하였다. 특히, 이번 테슬라 공장 재가동 건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

올해 1분기동안 전기차 등 미래차가 지난해보다 두배 이상 증가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020년도 1분기 미래차(전기·수소차) 보급사업 추진 실적을 분석한 결과, 미래차 12,140대가 보급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5%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동안 전기차는 11,096대가 보급되어 97.9% 증가했으며, 특히 전기화물차의 보급이 3대에서 2,890대로 크게 늘어났다.수소승용차는 총 1,044대가 보급되어 전년 대비 455.3% 증가했다. 이 외에도 전기버스는 50대에서 55대로 소폭 늘었고, 전기이륜차는 207대에서 323대로 증가했다. 미래차 보급실적은 전반적으로 보급여건이 쉽지 않은 상황임에도 전기화물차의 본격 출시, 수소충전 여건의 향상, 수입차 보급물량 확대 등에 힘입어 대폭..

전기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국내에서 구입할 수 있는 전기차 모델은 많지 않은 편이다. 특히, 정부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모델은 33종이며, 승용 전기차(초소형 포함)는 25종(승용 22개,초소형 3대)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런 가운데 기술과 디자인적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프랑스 브랜드 전기차가 곧 출시할 예정이라 관심을 모은다. 프랑스 푸조 브랜드의 ‘뉴 푸조 e-2008 SUV’과 르노삼성의 '조에(Renault ZOE)'가 그 주인공이다. 먼저, ‘뉴 푸조 e-2008 SUV’은 푸조에서 국내에 처음 공개하는 전기차 모델이 될 예정이다. 내외부 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녹여내어 푸조 SUV만의 당당함을 강조함과 동시에 미래 지향적으로 완벽하게 변화해 표현했..

푸조(PEUGEOT)와 시트로엥(CITROËN), DS 오토모빌(DS Automobiles, 이하 DS)의 공식 수입원인 한불모터스㈜(대표이사 송승철)는 2020년 전기차 3종을 선보이며 전기차 2.0시대의 포문을 연다. 한불모터스㈜는 지난해 전례없는 11종의 신차를 선보이며 시장 경쟁력을 확보했다. 푸조의 패스트백 세단 508과 스타일리시 왜건 508 SW, 세단보다 편안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와 C3 에어크로스, 플래그십 SUV DS 7 크로스백, 그리고 DS 3 크로스백까지 7종의 신차와 4종의 파워트레인 변경 모델을 선보이며 라인업을 대폭 확장했다. 이와 함께 질적 성장을 도모하여 지속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인증중고사업 개시, 푸조와 시트로엥의 영업망 분리, 전시장 3곳과 서비스센터 ..

대한민국 대표 전기자동차 전시회, EV(Electric Vehicle) 엑스포 ‘EV TREND KOREA 2020’이 4월 2일(목)부터 5일(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3회차를 맞은 EV 트렌드 코리아(EV TREND KOREA)는 환경부와 서울시가 후원하고 코엑스(Coex)와 한국전지산업협회에서 공동 주관하는 국내 대표 전기자동차 전시회이다. 전시회에서는 고농도 미세먼지를 비롯한 세계적인 환경오염 및 에너지 문제의 긍정적인 대안으로 주목 받는 친환경 EV를 소개하고 국내외 EV 트렌드, 신기술을 발 빠르게 선보이는 등 국내 친환경 EV 문화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기존보다 강화된 국제 컨퍼런스 세션과 신규 전시관 운영으로 업계 관계자는 물론 일반인 관람객 모두의..

2019년 자동차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친환경자동차를 넘어선 필(必)환경 자동차였다. 지난 12월부터는 서울시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 내 공해유발 5등급 차량 운행제한을 본격화했고, 친환경 버스와 공공자전거, 나눔카(카셰어링) 이용 등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2020년에는 친환경 자동차 전기차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브랜드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많은 소비자들이 기대하고 출시를 기다리는 수입차 3인방을 소개한다. 푸조는 브랜드 최초의 전기차인 e-208을 한국에도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에는 디젤 모델 중심의 라인업을 공개하여 아쉬움이 가장 컸던 수입자동차 브랜드였다는 점에서 e-208 모델은 큰 방향을 불러모을 것으로 기대된다. 순수전기차..

미국의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최근 선보인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Cybertruck)의 선주문량이 20만건에 달한다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밝혔다. 신차 공개 행사에서 차량 방탄유리가 깨지는 해프닝에도 공개한 지 나흘 만에 높은 주문량을 기록한 것이다. 일론 머스크는 25일(한국기준) 자신의 트위터에 “20만(200k)”이라는 글을 올리며, “광고나 특별한 홍보도 하지 않았다”고 말하며 테슬라 트럭의 인기를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이에 앞서 23일 트위터에서는 “현재까지 사이버트럭 주문 14만6000건을 받았다”며 “듀얼모터가 42%, 삼중모터 41%, 싱글모터 17%”라고 밝히며 다양한 트림이 사랑을 받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은 2003년 테슬라 브랜드 런칭 이후 6번..

폭스바겐은 지난 11월 20일, 2019 LA 오토쇼의 전야제에서 ID. 패밀리의 7번째 컨셉카이자 순수 전기차 모델인 ID. 스페이스 비전(ID. SPACE VIZZION)을 최초로 공개했다. 디자인과 차체 개발에 있어서 완전히 새로운 접근법을 택한 ID. 스페이스 비전은 공기저항계수가 0.24에 불과한 그란 투리스모의 공기역학 성능과 SUV의 넓은 실내 공간을 결합시킨, 새로운 세그먼트를 정의한 모델이다. 폭스바겐 디자인 총괄 클라우스 비숍(Klaus Bischoff)은 “새로운 ID. 스페이스 비전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유연성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협하지 않는 높은 품질, 그리고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에 발맞춘 독일 디자인의 저력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MEB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이 컨셉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