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동차분석 (33)
티렉스 Car Story

국내 수입차 시장의 판도가 뒤흔들리고 있다. 수입차 시장 판매 부동의 1위인 메르세데스 벤츠(13,489대)와 2018년 화재 이슈로 어려움을 겪었던 2위 BMW(8,065대)를 제외한 10개의 브랜드들이 치열하게 3위권 밖 순위 다툼을 하고 있다. 현재 렉서스가 4,187대로 3위를 기록하고 있고, 4위 혼다 2,938대, 5위 토요타 2,835대, 6위 랜드로버 2,627대, 7위 아우디 2,559대, 8위 볼보 2,510대, 9위 포드 2,168대, 10위 JEEP 2,144대 순으로 10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그 뒤로 11위 MINI 2,071대, 12위 포르쉐 1,801대가 기록하고 있는데 포르쉐의 놀라운 약진은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1만대 클럽을 매년 노리던 MINI는 특정 매니아층..

장기적인 불황으로 2030 세대가 자동차를 구입하는 비율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매년 젊은 세대의 자동차 구입이 크게 줄어들고 있고, 반대로 50대 이상이 신차를 구입하는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다. 불과 7년 사이에 가장 큰 손이던 30대는 신차 구입비율에서 40대와 50대에게 추월당했고, 20대는 60대보다 자동차를 안 사는 아니 못 사는 세대가 되었다. 이런 판도 변화의 이면에는 경제·인구적 이유가 가장 크겠지만, 문화적인 요인으로 '스마트폰'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어떤 이유에서든 2030의 신차 구입비율이 줄어드는 것은 시장에 큰 의미를 던지고 있다. 자동차전문 리서치 회사 컨슈머인사이트는 2001년부터 매년 7월, 10만명 규모의 대규모 자동차 기획조사를 실시해 왔다. 2011년 이후 8차례 ..
국내 디젤 승용차의 배출가스 측정 기준이 더 강화되며, 각 완성차 업체들은 새 측정 방식에 따라 기준을 충족한 모델 출시에 몰두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환경부는 2018년 9월부터 새로운 배출가스와 연료효율 측정 방식인 '국제 표준배출가스시험방식(WLTP)'을 모든 디젤 승용차에 적용하며, 국산차의 경우 생산일 기준, 수입차는 통관일 기준으로 지난 9월부터 해당 기준을 준수해야만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영향으로 수입차의 경우에는 2017년 대비 가솔린차량의 비율은 43%에서 47%까지 늘어나고, 디젤은 47%에서 41%까지 떨어지며 판매 역전현상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수입차 가솔린의 판매비율이 늘어나는데 큰 영향을 끼친 모델은 벤츠 E300과 포드 익스플로러, 닛산 알티마 모델 등이 큰..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2018년 신규 등록대수는 26만705대로 역대 최초로 26만대 판매량 돌파와 동시에 전년(23만3088대) 대비 11.8% 증가한 실적을 달성하며 국내 승용차 시장 점유율은 사상 최고치인 16.7%를 기록했다. 특히,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등록된 26개 브랜드 중 메르세데스벤츠, 도요타, 렉서스, 포드, 크라이슬러(지프), 랜드로버, 볼보, 캐딜락, 포르쉐, 롤스로이스 등 10곳이 브랜드 런칭 이래 최다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시장이 대규모 리콜, 차량 화재 등의 곤욕을 겪었음에도 수입차에 대한 인식 개선과 상품성 강화 등 수요 증가에 힘입어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며, “글로벌 브랜드들이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공격적으로 신차를..
2018년이 저물고 2019년이 밝았다. 2018년 국내자동차 시장을 돌아보면 많은 일들이 벌어졌지만, 그 중에서도 성장한 SUV시장과 반대로 줄어드는 세단의 점유율이 많은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에서는 SUV의 비율이 세단의 인기를 앞서거나 비슷한 상황이지만, 유독 국내에서만 승용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7대 3 비중으로 세단의 인기가 더 높은 시장였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8년에는 준대형세단(-17.1%)과 중형세단(-12.8%)의 판매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젊은 소비자일수록 세단보다는 SUV를 선호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2019년 세단 시장의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한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에도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세단 3종이 있다. 이들의 판..
2018년이 저물고 2019년이 밝았다. 2018년 국내자동차 시장을 돌아보면 많은 일들이 벌어졌지만, 그 중에서도 국내 SUV시장이 유독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SUV 판매 비중은 2012년 처음으로 20%대를 돌파 이후, 가파른 성장과 함께 2016년 30%, 2017년 35%까지 돌파한 상황이다. 2018년에도 브랜드마다 SUV 라인업이 강화되며 소형SUV는 약 34%, 중형SUV는 약 30%의 성장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2018년 SUV 전체시장은 30% 정도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2월에 출시한 팰리세이드가 1,908대가 판매되며 대형SUV의 인기가 살아나고, 출시 예정인 기아 대형SUV 텔루라이드, 코나보다 작은 소..
올해 11월까지 친환경 자동차 시장은 내수의 경우 111,205대 판매로 전년동기대비 27.2% 증가하고, 수출의 경우 171,774대 판매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11월 친환경자동차 내수 및 수출 동향'에 따르면 친환경차의 내수는 수소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가 모두 증가했다. 친환경차 전체로는 전년 동월 대비 35.5% 증가한 15,776대를 기록했으며, 하이브리드차는 11,777대(전년 동월 23.1% 증가), 전기차는 3,770대(23.9% 증가), 수소차는 160대(2186% 증가) 판매를 기록했다. 친환경차는 전체 승용차 판매량의 11.3%를 차지할 정도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수출은 하이브리드 차량은 소폭 감소했으나 전기차 수출이 증..
2018년 12월, 한 해를 마무리하고 돌아보는 시기가 다가왔다. 올 한 해 수입자동차 시장에는 BMW 차량 화재, 폭스바겐과 아우디 판매 재계 등 시장 전체를 뒤흔든 큰 이슈들이 많았다.이런 이슈로 인해 2018년 12월 벤츠와 BMW의 시장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11월의 경우 메르세데스 벤츠의 누적 판매대수는 64,902대로 30.52%의 점유율을, BMW는 52,817대로 24.84%의 점유율로 수입자동차 시장의 약 55%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하지만, 2018년 11월까지의 누적점유율은 벤츠 26.77%(64,325대)과 BMW 19.80%(47,569대)의 점유율로 약 45%의 점유율로 수입차 전체 점유율이 약 1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완성차 제조사와 정보통신(IT) 기업이 앞다퉈 차량공유(카셰어링)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현재 시장규모는 약 2250억 규모이지만, 카셰어링 서비스는 젊은 고객이 많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시장이자 미래지향적인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카셰어링을 이용하는 20대 비율이 전체 이용자의 약 73%를 차지해 잠재고객 유치에 유리한 서비스로 평가받는 이유이다. 첫째 젊은 소비자들이 이용하기 편한 스마트폰과 IT 기술이 잘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그린카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 환경에 최적화된 IVI(In-Vehicle Infotainment, 차량용 인포테인먼트)플랫폼 ‘AWAY’는 차량 안에서 즐길 수 있는 음악, 오디오 콘텐츠와 같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기능과 빠른 길 ..
자동차화재 연쇄발생에 대한 BMW의 부품 결함 인정과 공식 사과가 있었다. BMW의 화재는 수입차 시장 전반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 되었으나, 초기반응과는 다르게 수입차 판매에 별 영향이 없었고, 독일 5사도 전체적으로는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장 큰 반사이익은 의외로 제네시스 몫이 될 것으로 나타났고, 현대-기아에 이어 제3의 국산 브랜드가 성장할 가능성과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수입차, 고급차를 향한 한국소비자의 열망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형차와 매스브랜드에게는 힘든 시기가 이어질 것이다. 자동차전문 리서치회사 컨슈머인사이트는 2001년부터 매년 7월, 10만명 규모의 초대형 자동차 소비자 조사를 실시해 왔다. 2018년 조사의 자료수집 기간이 끝날 무렵(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