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REX Car Story/Car 분석 톡톡 (326)
티렉스 Car Story
한국자동차미래연구소(KAFRI, Korea Automotive Future Research Institute, 소장 박재용, 이화여대 연구교수)는 자동차오너를 대상으로 ‘2016년 디젤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부에서 실시하는 디젤엔진 차량 배출가스 인증 검사를 신뢰하지 않는다(81%)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는 2016년 11월 15일 ~ 12월 2일까지 약 17일간 자동차를 소유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정부의 디젤엔진 인증 검사의 신뢰도’, ‘제작사 및 수입사 디젤엔진 자동차의 배출가스 인증 신뢰도’, ‘디젤엔진에 대한 환경오염 인식’, ‘디젤엔진에 대한 이해도‘ 등 디젤엔진과 대기환경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디젤엔진이 환경오염의 주범이라고 생각하는 ..
수입차 브랜드 2016년 판매실적이 공개되었다. 2016년 한 해 동안의 판매성적은 브랜드들을 웃고 울렸다. 한 해를 결산하는 의미로 수입차 브랜드 판매실적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재미있는 사실 7가지를 발견하였다. 2015년에는 BMW가 47,877대-벤츠가 46,994대로 883대 차로 BMW가 간발의 차로 수입차 브랜드 판매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6년에는 19.9% 판매증가율을 보인 벤츠가 56,343대를 판매하며 47,877대(1.2%증가)를 판 BMW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가장 큰 요인은 벤츠 E클래스의 성공적인 런칭에 힘입은 중형세단 판매 급증으로 보인다. 올 해에는 BMW5 시리즈가 런칭 예정으로 사전계약도 벌써(1/4) 시작할 정도로 분주하다. 중형세단 세단시장 선점과..
이제는 2016년 자동차시장을 돌아보고, 2017년 자동차시장을 예상해 볼 시기이다.'아듀 2016! 국내 자동차시장'이라는 제목으로 세단과 SUV 시장을 돌아보고자 합니다. 올 한 해 자동차 시장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상반기는 '중형세단으로 쓰는 다시 쓰는 삼국지(브랜드)' 하반기는 '불난 집(SUV)에 부채질 하는 중형SUV'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매년 판매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SUV시장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2016년 SUV시장은소형SUV 중심의 미열로 시작해중형SUV 신차 가세로 번아웃되다. 2015년 소형SUV 열풍은 티볼리 출시 이후 더욱 뜨겁게 달아올라, 2016년 다양한 브랜드의 소형SUV 모델 출시를 이끌어 냈습니다. 2016년 소형SUV 판매 1위가 확실한 ..
개인적으로 '안티현대차'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현대자동차를 응원하고, 2017년에는 부정이미지를 극복하고 소비자에게 조금 더 다가가기를 바랬다. 자동차전문 리서치회사 컨슈머인사이트가 2001년 시작한 표본규모 10만의 초대형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의 제16차 조사(2016년 7월 실시) 결과, '안티현대차' 이미지는 우려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새 차 구입자에게 ‘그 차를 만든 회사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물은 결과 만족률은 ‘국산차 회사’ 38%, ‘수입차 회사’ 53%로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현대와 기아는 33%, 34%로 국산-수입을 통 털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소비자의 불만은 자동차 자체 보다는 제작사에 대해 훨씬 더 크고, 그 ..
자동차의 LPG 연료 사용 문제가 뜨거운 감자다. 전 세계적으로는 LPG 사용량의 증가와 함께, 주요국에서 LPG자동차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 호주, 영국, 이탈리아, 중국, 인도 등 전 세계 70여개국에서 2641만대가 운행중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여러 이유로 LPG자동차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산업부와 국회의 입장차이가 크다. LPG자동차 제한 주장 (산업부) 1. 온실가스 배출 문제 2. 수송연료별 수급안정성 3. 친환경차 전환 장애 LPG자동차 확대 필요성 주장(국회) 1. 경유차 저감 정책 대안 2. 미세먼지의 실질적인 대책 하지만, 세계적으로는 LPG자동차 시장은 연평균 9%의 꾸준한 성장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까지 세계 1위 시장을 지켜..
비용 대비 가치에 소비자들이 주목하기 시작했다. '비용 대비 가치'란 자동차를 구입하기 위해 드는 비용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여, 자동차의 만족도와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이 평가는 실 구입자의 평가와 의견이 담겨있어 자동차구입을 고려하는 소비자에게 좋은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전문 리서치회사 컨슈머인사이트의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 16차’ 내용을 확인한 결과, 자동차를 구입한 소비자들은 전체적으로 '자신의 자동차에 가격과 드는 비용은 그만한 가치가 없다'고 보고 있으며, 국산차의 경우 더 그렇다고 답변했다. 크고 비싼 차는 ‘비용 대비 가치’ 만족도가 낮았고, 작고 싼 차는 높았다. 저렴하면서 실속 있는 차의 시대가 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는 새 차를 구입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