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기차보조금 (7)
티렉스 Car Story

서울시는 올해 전기차 보조금 신청을 오는 23일부터 환경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접수한다.서울시는 올해 1천419억원을 투입해 친환경 전기차 1만1천779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부문별로는 민간(개인·법인·기관) 1만1천73대, 버스·택시 등 대중교통 411대, 시·자치구 공공 295대다.차종별로는 △승용차 5천231대 △화물차 2천105대 △이륜차 4천20대 △택시 300대 △버스 123대다. 전기 승용차는 정부 방침에 따라 올해부터 차량 가격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원한다.차량 가격 6천만원 미만은 보조금 전액(국·시비 최대 1천200만원)을, 6천만원 이상~9천만원 미만은 보조금의 50%를 지원한다. 9천만원 이상 차량은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현대차 코나(기본형 PTC·HP)와 기아차 니..

올해 1분기동안 전기차 등 미래차가 지난해보다 두배 이상 증가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020년도 1분기 미래차(전기·수소차) 보급사업 추진 실적을 분석한 결과, 미래차 12,140대가 보급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5%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동안 전기차는 11,096대가 보급되어 97.9% 증가했으며, 특히 전기화물차의 보급이 3대에서 2,890대로 크게 늘어났다.수소승용차는 총 1,044대가 보급되어 전년 대비 455.3% 증가했다. 이 외에도 전기버스는 50대에서 55대로 소폭 늘었고, 전기이륜차는 207대에서 323대로 증가했다. 미래차 보급실적은 전반적으로 보급여건이 쉽지 않은 상황임에도 전기화물차의 본격 출시, 수소충전 여건의 향상, 수입차 보급물량 확대 등에 힘입어 대폭..
서울시가 올 연말 '전기·수소차 2만5000대 시대'를 연다. 지난해 전기차 1만대 시대를 개막한 데 이어 올해 1만4000여대를 추가 보급한다. 올해 보급물량은 과거 10년간 보급한 누적대수(1만1512대)보다 많은 규모다. 서울시에 따르면 전기차는 총 1만3600대 보급이 목표다. 전기승용차 9055대, 화물차 445대다. 대기오염의 주요 배출 원인인 노후경유차를 전기차로 중점 전환하기 위해서다. 대중교통의 경우 친환경차로 전환하면 대기질 개선효과가 더 커진다. 전기택시는 지난해 대비 30배(2018년 100대→올해 3000대), 대형버스는 약 3.3배(2018년 30대→올해 100대) 확대 보급된다. 생활밀착형 전기이륜차는 1000대, 수소차는 307대 투입된다. 서울시는 2022년까지 전기차 공용..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올해 2만대로 책정된 ‘전기차 국고보조금(총 2400억원)’을 차량 성능과 환경개선 효과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로 인해 최대 1200만원에서 최저 1017만원까지 차등지급 된다.지난해까지 전기차는 차종에 관계없이 정액(1400만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았다. 전기차 보조금 차등지원 제도는 미국, 일본, 중국 등 전기차 선도 국가에서 대부분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조금 체계 및 보급대상 평가규정 선진화 연구용역(2016년 11월~2017년 6월) 실시와 자동차 제조사 등 이해 관계자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올해 전기차 보조금 차등지급 방식을 확정했다.이에 따라 전기 승용차는 배..
전기차 보조금을 기본형(300만원), 부분개방형(400만원), 완전개방형(500만원)에 따라 일괄 지원한 종전 방식에서 개인이 사용하면 160만원, 이웃과 함께 사용하면 최대 550만원까지 지원하는 차등제로 바뀐다. 환경부는 내년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을 △기능성 △접근성 △운영성 △전기 공사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잡고, 불특정 다수의 충전 인프라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며 충전기를 실제 사용 때보다 방치될 때가 많다는 낭비 요소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환경부는 7㎾급 완속충전기(60만원)와 전기 공사비(100만원)를 기본 보조금 형태로 준다. 여기에 충전기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정부·민간 충전사업자에게 제공하면 30만원, 과금 기능(30만원)과 실시간 현장 결제(100만..
4월 출시를 앞둔 쉐보레의 순수전기차 '볼트 EV'가 17일 시작된 사전 계약에서 불과 3시간 만에 완판된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가 15일 하남 스타필드에 국내 첫 스토어를 개장하면서 전기차 열풍을 이끌었지만 중형급 세단인 '모델S 90D‘의 기본 가격이 1억 2천만원으로 책정됐고, 여기에 미국에 비해 1천만원 비싼 가격에 대한 논란까지 일면서 전기차 소비자들의 관심이 '볼트 EV'로 선회한 것으로 분석된다. 볼트EV는 1시간 급속충전으로 전체 배터리 용량의 80%까지 충전, 300km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충전방식은 DC콤보로 국내 전기차 충전 표준방식을 적용했다. 가격은 올해 책정된 국고 보조금 1400만원과 지역별로 최대 1200만원까지 주어지는 지자체 보조금 혜택을 포함, 2천만원대에 책정됐다...
전기차 보조금 신청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장관 조경규)는 지난달 25일부터 시작한 전기차 보조금 신청 대수가 접수 3주 만에 1200대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지방자치단체 72곳 중 세종특별자치시, 광주광역시, 전주시, 춘천시, 청주시 등 33곳에서 접수가 마감됐다.접수가 마감된 33곳 중 27곳은 올해부터 전기차 보급 사업을 처음 시작한 지자체로 신규 보급지역의 전기차 구매열기가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주시는 보조금 신청을 위해 70여명의 시민들이 밤새 줄을 섰고, 세종시와 용인시는 보조금 접수 시작과 동시에 신청이 마감되는 등 전기차 구매신청이 급증했다. 올해 전기차 보조금 신청 대수는 지난해에 비해 4배 많은 1200대를 초과했다. 지난해의 경우 2월 말까지 전기차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