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현대차 (27)
티렉스 Car Story

현대자동차와 기아, 르노삼성차가 지난해 판매실적에서 선방했다. 글로벌 자동차업계에 불어 닥친 반도체 수급대란 속 거둔 성과라 가치가 있는 실적이다. 반면 쌍용자동차·한국지엠(쉐보레)은 직격탄을 맞아 대조를 이뤘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전체적인 선방이라 평가를 받았지만 7년 연속 연간 판매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2022년 연간 판매 목표를 지난해 전체 실적(666만8037대) 대비 12.1% 늘린 747만4000대로 높여 잡았다. 이는 지난해 목표량(708만2000대) 대비 5.5% 확대한 것으로 코로나 시대 이전으로 판매량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현대차그룹의 이런 공격적 목표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과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여파에도 미국과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판매를 늘리며 선전한..

자동차 서비스 고객만족도에서 국산차는 중견3사, 수입차는 일본 브랜드가 강세를 보였다. 판매서비스 만족도는 국산차가 처음으로 수입차를 앞질렀으며, 사후서비스(AS) 만족도에서는 수입차가 국산을 근소한 차이로 따라붙으며 처음으로 800점(1000점 만점)대를 돌파했다. 자동차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의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매년 7월 10만명 대상)’에서 지난 1년 새 차 구입자와 서비스센터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각각 판매 단계(영업소·영업직원·인도과정·판매후관리)와 AS 단계(접근·절차·환경·결과·회사)의 고객 만족도를 묻고 국산-수입차 브랜드별로 비교했다. 판매서비스 만족도는 국산 평균 778점, 수입차 평균 772점으로 국산이 수입차를 앞섰다. 국산차는 그동안 일관된 열세였으나 지난해 동점을 ..

현대자동차는 24일 미디어 대상 ‘더 뉴 그랜저’ 프리뷰 행사를 가지고, 구체적인 차 내외관 모습이 담긴 티저 사진을 공개했다. 현대자동차를 새롭게 대표할 플래그십 세단 ‘더 뉴 그랜저’는 2016년 11월 출시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6세대 그랜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동급 최고 수준의 공간성을 확보하며 신차급 변화를 달성해낸 프리미엄 세단이다. 더 뉴 그랜저는 2016년 11월 첫선을 보인 그랜저(IG)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지만, 램프와 범퍼 정도를 바꾸는 통상의 페이스리프트가 아니라, ‘모델 체인지’에 가까울 정도의 변화를 보여준다. 휠베이스 변화를 통한 실내공간 변화, 전면 그릴과 루프 변화에 따른 외형 디자인 변화, 스마트스트림 G2.5 GDi 엔진 추가 가능성의 파..

현대자동차(주)가 대한축구협회(KFA) 및 축구 국가대표팀을 2023년까지 공식 후원한다. KFA는 7일 파주 국가대표트레이닝센터(NFC)에서 정몽규 KFA 회장과 이광국 현대자동차 국내사업본부 부사장, 파울로 벤투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국가대표 백승호·이강인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한축구협회 및 축구 국가 대표팀 후원 조인식’을 가졌다. 1999년부터 지속적으로 KFA를 후원 중인 현대자동차는 이번 조인식을 통해 2023년까지 KFA를 후원, 국내 축구 발전을 위해 확대된 지원 및 팬들과 적극적인 소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KFA와 함께 특화 바이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 팬들과 보다 적극적인 소통을 진행한다. 국가대표 선수 소집 시 현대자동차 주요 차종에 탑승해 ..
2018년이 저물고 2019년이 밝았다. 2018년 국내자동차 시장을 돌아보면 많은 일들이 벌어졌지만, 그 중에서도 성장한 SUV시장과 반대로 줄어드는 세단의 점유율이 많은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에서는 SUV의 비율이 세단의 인기를 앞서거나 비슷한 상황이지만, 유독 국내에서만 승용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7대 3 비중으로 세단의 인기가 더 높은 시장였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8년에는 준대형세단(-17.1%)과 중형세단(-12.8%)의 판매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젊은 소비자일수록 세단보다는 SUV를 선호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2019년 세단 시장의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한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에도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세단 3종이 있다. 이들의 판..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대형 SUV 팰리세이드가 사전계약 첫 날에 3500대에 달하는 계약 실적을 올렸다. 30일 현대차에 따르면 팰리세이드는 사전계약을 시작한 29일 하루에만 3468대의 예약이 완료됐다. 이는 포드 익스플로러와 혼다 파일럿 등 동급 수입산 대형 SUV의 지난해 평균 5개월치(750대 X 4.6개월) 판매량에 가까운 수치다. 또 지난해 연간 국내 대형 SUV 산업수요(4만7000대)의 7% 수준에 달한다. 팰리세이드는 역대 현대차 사전계약 첫날 대수 중 그랜저IG(1만6088대), 싼타페TM(8193대), EQ900(4351대)에 이어 4번째로 많은 수치를 기록하며, 또 하나의 볼륨 차종 탄생을 알렸다. 현대차 관계자는 “사전 계약 첫날임에도 많은 고객 분들께서 선뜻 계약에 나서주셔서 감..
벨로스터 N이 지난 20일 출시했다. 벨로스터 N은 ‘운전의 재미(Fun to Drive)’라는 고성능 라인업 N의 철학에 따라 지난해 유럽에서 출시한 i30 N에 이어 개발된 현대차의 두 번째 고성능차다. N의 3대 고성능 DNA인 ▲코너링 악동(Corner Rascal, 곡선로 주행능력) ▲일상 속 스포츠카(Everyday Sports Car) ▲레이스 트랙 주행능력(Race Track Capability)가 녹아든 벨로스터 N은 지금까지 현대차가 추구하던 철학과 다른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전달하는 데일리 고성능차를 표방하고 있다. 한국은 고성능차 시장이 아직 미성숙하다는 판단으로 i30 N 출시도 포기했던 현대자동차에서 벨로스터 N을 공식 출시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현대자동차는 벨로스터 N의 성..
수입 베스트셀링카는 벤츠의 E클래스와 BMW의 5시리즈가 뜨겁게 경쟁하며, 중형 세단이 독주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2014년과 2015년에는 폭스바겐 티구안이 2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기록하며 SUV 모델이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다. 국내 베스트셀링카 경쟁은 세단모델이 주도하며 SUV가 넘볼 수 없는 벽였다. 2018년 5월, 그랜저가 독주하고 있는 베스트셀링카 경쟁에 SUV 모델인 싼타페가 추격하고 있어 주목된다.올 1월(9,601대)과 2월(8,984대) 베스트셀링카를 차지한 그랜저는 15개월 연속 국내 베스트셀링카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2월 출시한 신형 싼타페가 3월(13,076대)과 4월(11,837대) 베스트셀링카로 등극하며, 그랜저(3월 10,598대,..
현대차가 최고 가성비를 자랑하는 ‘2018 엑센트’를 2일(수) 출시한다고 밝혔다. 4도어 모델인 ‘엑센트’와 5도어 모델인 ‘엑센트 위트’로 구성된 ‘2018 엑센트’는 내·외장 디자인을 변경하고, 4도어 모델에 고객 선호 편의사양을 확대 적용한 ‘스마트 스페셜’ 트림을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 스페셜’ 트림은 △인조가죽 시트, 도어 센터트림, 센터 콘솔 등 고급화 내장 △블루투스 핸즈프리, 스티어링 휠 오디오 리모컨 등 멀티미디어 사양 △미세먼지 포집 성능을 강화한 마이크로 에어필터 등을 기본 적용했다. 이 밖에도 ‘스마트 스페셜 트림’ 구매 고객은 △신규 디자인이 적용된 16인치 알로이 휠&타이어, 히팅 패키지(열선 스티어링 휠+앞좌석 열선시트+열선 내장 아웃사이드 미러) 등을 추가로 선택할..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쏘의 인기가 뜨겁다. 현재 총 1,164대가 계약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넥쏘의 인기비결은 크게 4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5분 충전으로 주행거리 609km를 달릴 수 있는 성능. 둘째, 6.33kg 충전용량에 수소 kg당 가격 5500원~8000원. 셋째, 6890만원 가격에 정부보조금 3500만원 지원으로 실제 구입가격 3390만원. 넷째, 공기정화 기능으로 대기환경 개선 가능한 친환경차. 넥쏘는 높은 인기비결만큼이나 큰 단점도 존재해, 높은 인기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선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가장 먼저, 부족한 수소차 충전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현재 운영중인 충전소는 11곳이며, 건설 중인 충전소는 8곳을 포함해도 전국에 20곳이 안 되는 수소충전소는 넥쏘를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