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나EV (12)
티렉스 Car Story

현대자동차는 만능형을 표방하는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디 올 뉴 코나 일렉트릭'을 출시한다고 13일 밝혔다. 2세대인 이번 코나 일렉트릭은 64.8킬로와트시(kWh) 배터리를 장착해 국내 기준 1회 충전 시 최대 417km(롱레인지 기준)를 주행할 수 있다. 또 전 세대 대비 패밀리룩을 갖춘 외관과 다양한 안전 및 편의 사양으로 상품성도 개선했다. 볼륨감을 살리는 동시에 동급 SUV 대비 우수한 공력계수(0.27)를 갖춰 주행 가능 거리를 확보했다.1세대 모델과 비교해서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도 증가했지만, 크기를 고려하면 효율성도 크게 개선된 수준입니다. 디 올 뉴 코나 일렉트릭의 효율성을 뒷받침하는 공력계수는(Cd)는 0.27로 동급 SUV 대비 압도적인 수치를 자랑합니다. 이를 위해 전면..

전세계 전기차 시장이 대거 위축된 가운데 현대·기아차는 지난해보다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선전하고 있다. 올 1~5월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이 7.2%로 지난해보다 1.8%포인트(P)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올해 1∼5월 세계 각국의 전기차 판매량을 조사한 결과 현대자동차의 시장점유율은 3.7%로 지난해 같은 기간(3.0%)보다 0.7%P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기아차의 점유율은 지난해 2.4%에서 올해 3.5%로 1.1%P 뛰었다. 두 회사의 점유율을 합하면 7.2%에 달한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 순위에서 현대차는 6위, 기아차는 7위를 차지했다.월간 집계에서 기아차가 ‘톱10’에 진입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판매량은 현대차는 26만5000대, 기아..

전기자동차 확산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는 한국전력이 한시적으로 적용해온 각종 전기요금 특례할인 제도를 폐지할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용 특례요금제는 내년 1월1일자로 해지되고 기존 요금제로 돌아가는 것을 고려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특례요금제를 마련한 바 있다. 전기차 충전기에 부과되는 전기요금 가운데 기본요금을 전부 면제하고 전력량 요금도 50% 할인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국내 급속충전기를 구축한 사업자는 완속충전기(7㎾h)와 급속충전기(50㎾h)의 기본요금인 월 1만6660원과 11만9000원을 각각 면제받아 왔다. 소비자의 경우 시간·계절별로 ㎾h당 52.5~244.1원씩 내던 요금의 절반만 내면 됐다. 산업통산자원부가 발표..

중고차 시장에서 최근 3년간 매물로 등록된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연료전기차 등 친환경차가 약 8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전기차 등록 대수 증가가 두드러졌다. 올해 1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등록된 친환경차 대수를 조사한 결과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가 3년 전인 2016년(9442대)보다 63% 증가한 1만5371대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같은 기간 전기차는 901% 증가한 1832대였다. 전기차 등록 대수 증가세는 최근 2년간 국산차에서 두드려졌다. 현대자동차 코나 일렉트릭, 기아자동차 니로EV 등이 새로 출시되며 올해 국산 전기차 등록 대수가 1568대로 작년보다 223% 늘었다. 전기차에서 국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66%에서 20%P(포인트) 늘어난 86%로 절대수치가..

급증한 친환경차 판매에 힙입어 5월 국내 자동차 생산과 수출이 2개월 연속 동반 상승했다. 산업통산자원부(장관 성윤모)가 발표한 5월 국내 자동차산업 월간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 자동차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1%, 수출은 6.1% 상승했다고 밝혔다. 주목할 부분은 친환경차의 내수와 수출에서 급성장을 이뤘다는 점이다.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37.2% 증가한 1만3844대가 판매됐고,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5.6% 증가한 1만8490대를 기록하면서 지난달 자동차산업을 이끌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하이브리드차의 판매 호조, 전기차·수소차 보조금 지급에 따른 판매 급증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전기차는 보조금 지급이 2월부터 본격화되면서 전년동월 대비 72.1% 증가했다. 현재 전기차..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친환경차는 전년 대비 26.2% 증가한 12만4979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전기차ㆍ수소전기차ㆍ하이브리드) 국내 시장점유율은 2016년 3.7%, 2017년 5.4%, 2018년 6.8% 등 매년 급성장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지난 1~3월 현대·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국내시장에서 판매한 전기차는 5967대로 3581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7% 증가했다. 3월에 판매한 전기차는 4748대로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대차의 '코나 일렉트릭'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의 실적도 전기자동차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2019년 1분기 실적 향상에 큰 도움이 된 걸로 알려졌다. 너무 가까이 있기에 소중..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은 단순 트렌드가 아닌 자동차 생활안으로 들어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달 29일부터 11일간의 대장정을 시작한 서울모터쇼에는 ‘지속가능하고 지능화된 이동 혁명’이라는 주제와 함께 전기자동차에 대한 이야기를 주요 볼거리로 꾸며놓았다. 주요 자동차 브랜드들은 친환경차에 대한 급증하는 소비자의 관심을 잡기 위해 전기차 신모델을 출시하고 브랜드만의 신기술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5월 2일(목)부터 5일(일)까지 친환경자동차만을 모은 전시회인 'EV TREND KOREA 2019'가 서울에서 유일하게 코엑스에서 열릴 예정이고, 작년 10월에는 국내 최초 전기차 전문 웹사이트 'EV 포스트"가 개설되는 등 소비자들의 관심을 넘어, 자동차시장까지 변화가 ..
매년 초가 되면 이전 해에 가장 성공적으로 데뷔한 모델과 뛰어난 성능을 가진 모델을 후보로 결정하고, 최고의 자동차를 선정하는 행사가 열린다. 대표적으로는 북미 시장을 대표하는 디트로이트 모터쇼와 유럽을 대표하는 제네바 모터쇼는 그 지역을 대표하는 '올해의 자동차'를 선정해 의미를 더한다. 최근 국내 브랜드의 모델들이 다양한 어워드에서 '올해의 자동차'에 선정되며 기염을 토하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최대 격전지 북미 시장에서 제네시스 G70이 ‘2019 북미 올해의 차’에 최종 선정되며 향상된 성능과 뛰어난 디자인을 증명했다. 2015년 출범한 제네시스 브랜드는 3년여 만에 북미 올해의 차를 수상하여 고급차 브랜드로서의 가능성과 프리미엄 모델의 최고 격전지인 미국시장에서 브랜드의 위상을 높였다. ..
정부의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관련 추경예산이 당초 환경부가 요청한 안에서 237억 5000만원이 감액된 반면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 예산은 112억 5000만원이 증액됐다. 그 결과, 이번 친환경차 관련 추경예산은 4475억 2900만원으로 본예산 3522억 7900만원에서 952억5000만원이 증액됐다. 환경부는 올해 본예산에서 전기차 2만대, 전기버스 150대분의 보조예산 2550억원을 편성한데 이어 추경안에서는 전기차 8000대, 전기버스 50대 분량의 지자체 자본보조 예산 1010억원을 편성할 예정이다. 전기차 제작사 생산계획 3만 5000대, 구매자 계약 3만 7000대, 지자체 수요 3만대, 신차 출시계획 등을 고려할 경우 추가물량을 연내 집행하기 위함이다.실제 4월기준 현대자동..
얼어있던 땅이 녹고 새싹이 돋기 시작하는 봄이 왔다. 하지만, 봄소식에 대한 반가움 보다는 봄철 미세먼지에 대한 걱정이 앞서 봄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릴수록 대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분야에서는 자연스럽게 친환경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친환경차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전기차는 아직 낮은 판매비율과 직접 경험한 소비자가 적어 전기차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 하는 부분이 많다.이번 포스팅에는 전기차에 대한 아리송한 사항을 O.X 퀴즈로 알아본다. 현재 내연기관차를 판매한 국가는 없다. 하지만, 2025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한 국가는 있다. 바로 노르웨이이다. 노르웨이는 유럽에서 전기차 보급률이 가장 높은 국가로 운행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모두 없애는 것을 목..